맨위로가기

잔 베퀴 뒤 바리 백작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 베퀴 뒤 바리 백작부인은 1743년 프랑스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파리의 사교계에서 활동하며 루이 15세의 정부가 된 인물이다. 그녀는 매춘부 출신이었으나, 루이 15세의 총애를 받아 귀족 신분을 얻고 궁정에 입성했다. 궁정 생활에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으며, 마리 앙투아네트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루이 15세 사후 추방당한 뒤 프랑스 혁명 시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녀의 이름은 요리에 사용되기도 했으며,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의 정부 - 디안 드 푸아티에
    디안 드 푸아티에는 프랑수아 1세와 앙리 2세 시대에 영향력을 행사한 귀족 여성으로, 앙리 2세의 총애를 받으며 왕실 정책에 관여하고 건축 사업에 참여했으나, 앙리 2세 사후 권력에서 물러나 여생을 보냈으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왕의 정부 - 잔앙투아네트 푸아송 드 퐁파두르 여후작
    잔앙투아네트 푸아송 드 퐁파두르 여후작은 루이 15세의 총애를 받은 애첩으로서 뛰어난 예술적 안목과 정치적 감각으로 프랑스 궁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정치적 개입에 대한 비판 또한 존재하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 1743년 출생 - 니콜라 드 콩도르세
    니콜라 드 콩도르세는 프랑스의 수학자, 철학자, 정치인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진보적인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전망한 『인간 정신 진보의 역사적 개관 초고』와 선거 방법론을 다룬 『다수결의 결정 확률에 대한 분석의 적용에 관한 논문』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743년 출생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는 독일의 철학자, 작가, 사업가로, 칸트 등 독일 관념론 철학을 비판하고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사상을 제시했으며, 독일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에서 처형된 사람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에서 처형된 사람 - 프랑수아노엘 바뵈프
    프랑수아노엘 바뵈프는 프랑스 혁명 시기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평등을 주장하며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급진 정치 사상가이다.
잔 베퀴 뒤 바리 백작부인
기본 정보
뒤바리 부인의 초상, 엘리자베트 비제 르 브룅 그림, 1782년
엘리자베트 비제 르 브룅의 초상화, 1782년
본명잔 베퀴
출생일1744년 8월 28일
출생지보쿨뢰르, 프랑스 왕국
사망일1793년 12월 8일 (50세)
사망지파리, 프랑스 제1공화국
매장지마들렌 묘지
배우자기욤 뒤 바리 백작 (1768년 결혼)
직함뒤바리 백작 부인
서명
배우자
배우자 유형배우자

2. 초기 생애

마리 잔 베퀴는 1743년 프랑스 샹파뉴 지방(현재 뫼즈현 보쿠르)에서 재봉사 안 베퀴의 사생아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파리로 이주 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 1763년 장-밥티스트 뒤 바리의 눈에 띄어 그의 정부가 되었다. '마드모아젤 랑주'라는 이름으로 불린 잔은 1766년부터 뒤 바리의 도움으로 귀족 등 파리 상류층을 상대로 고급 창녀로 활동했다.[7]

2. 1. 출생과 성장

마리 잔 베퀴는 1743년 보쿠르에서 30세의 재봉사 안 베퀴의 사생아로 태어났다.[3] 정확한 아버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프레르 앙주'로 알려진 수도사 장 자크 고마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어머니의 지인이었던 빌리아르-두몽소 씨의 도움으로 잔과 어머니는 3살 때 파리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안은 두몽소의 당시 정부 프란체스카의 요리사로 일했고, 프란체스카는 잔을 아꼈다. 잔은 파리 외곽의 수도원인 생토르 수도원에서 교육받았다.[3]

15세가 되자 잔은 수도원을 떠났다. 그 무렵, 잔과 어머니 안은 두몽소 씨의 집에서 쫓겨나 안의 남편 니콜라 랑송에게 돌아갔다.[4] 생계를 위해 잔은 처음에는 파리 거리에서 장신구를 팔았다. 1758년에는 람메츠라는 젊은 미용사를 돕는 일을 했는데, 소문에 따르면 그와 짧은 관계를 맺고 딸을 낳았다고 한다.[3] 이후 늙은 미망인 라 가르드 부인의 독서 및 동반자(dame de compagnie)로 고용되었지만, 라 가르드 부인의 결혼한 두 아들과 그들의 아내 중 한 명의 관심을 끌자 쫓겨났다.[5] 1763년부터 잔은 모자 제조사의 조수이자 유행하는 잡화상인 마담 라빌과 그녀의 남편의 "라 토일렛"이라는 가게에서 ''그리제트''로 일했다. 라빌의 딸인 아델라이드 라빌-기아르는 잔의 좋은 친구가 되었다.[6]

2. 2. 사교계 진출

1760년 재봉사로 "아 라 투알렛"이라는 양장점에서 일하기 시작한 잔은, 얼마 지나지 않아 뒤 바리 자작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1] 귀부인 같은 생활을 하는 대신 자작이 데려온 남자와 잠자리를 같이 했다.[1] 상대는 집안이 좋은 귀족이나 학자,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등이었고, 그때 사교계에서 통용되는 화술과 몸가짐을 습득했을 것으로 추측된다.[1] '마드모아젤 랑주'라는 이름으로 귀족을 포함한 파리 상류층 인사들을 상대로 고급 창녀로서 경력을 쌓았다.

3. 루이 15세의 정부

1764년 퐁파두르 후작 부인이 사망하고, 1765년에는 왕세자 루이 페르디앙, 1767년에는 왕세자비 마리아 요제파, 1768년에는 왕비 마리 레슈친스카가 사망하면서 루이 15세는 실의에 빠져 있었다. 1768년, 베르사유 궁전에서 우연히 루이 15세를 만나게 되었고,[46][47] 국왕의 큰 관심을 받았다. 루이 15세는 그녀의 미모와 지성이 마음에 들어 공식 정부(情婦, 메트레상티트르)[48][49]가 되어줄 것을 요구했다.

뒤바리 백작부인은 일정한 절차를 거친 후 퐁파두르 부인을 이어 루이 15세의 공식 정부(maîtresse en titre)가 되었다. 루이 15세는 말년에 그녀에게 푹 빠져 있었다. 낮은 신분과 매춘부 경력 때문에 ''마이트르스 앙 티트르'' 자격을 얻을 수 없었던 잔은 국왕의 명령에 따라 1768년 9월 1일, 전 연인이었던 장-밥티스트 뒤 바리 백작의 남동생인 기욤 뒤 바리 백작(1732–1811)과 결혼했다.[9] 이 결혼식에는 장-밥티스트 뒤 바리가 위조한 출생 증명서가 포함되어 잔을 3살 어리게 만들고 가상의 귀족 혈통으로 만들었다.

321x321px


그녀는 퐁파두르 후작 부인처럼 정치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자신이 우러러보던 높은 귀족들이 자신에게 조아리는 것을 즐기게 되었다.

3. 1. 궁정 입성

1769년 4월 22일, 뒤바리 부인은 정식으로 궁정에 소개되었다. 마담 드 베른은 거액의 도박 빚을 해결해주는 대가로 뒤바리 부인의 궁정 소개를 후원했다.[10] 소개 당시 뒤바리 부인은 금색으로 브로케이드 처리된 은백색 드레스를 입었고, 전날 밤 국왕 루이 15세가 보낸 보석으로 장식했으며, 전에 본 적 없는 거대한 패니에를 착용하여 화려한 모습이었다.[10]

3. 2. 궁정 생활

뒤바리 부인은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겼다. 루이 15세는 벵골 출신 노예 소년 자모르를 선물했고, 뒤바리 부인은 그에게 화려한 옷을 입히고 총애하며 교육을 시켰다.[13][14] 1793년 재판 증언에서 자모르는 자신의 출생지를 치타공으로 언급했으며, 그는 아마도 시디 출신이었을 것이다.[15]

1770년 프랑수아-위베르 드루에가 그린 잔 베퀴의 초상화: 프라도 미술관 소장


퐁파두르 후작 부인과 달리 정치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20] 국왕의 총애를 바탕으로 궁정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귀용 공작 등과 친분을 맺고 슈아쇨 공작과 대립했다. 뒤바리 부인의 궁정 내 권력이 강해지면서 슈아쇨은 자신의 권력이 약해지고 있다고 느꼈다. 뒤 바리는 1770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국왕에게 슈아쇨의 음모를 폭로했고, 슈아쇨은 그의 장관직에서 해임되어 궁정에서 추방되었다.[19]

시간이 지나면서, 잔은 아귀용 공작과 알게 되었고, 그는 슈아쇨 공작에 맞서 그녀를 지지했다. 잔의 궁정 내 권력이 강해지면서 슈아쇨은 자신의 권력이 약해지고 있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국왕은 7년 전쟁 이후 자국이 지쳤다고 믿었지만, 슈아쇨은 프랑스가 다시 전쟁을 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포클랜드 제도 소유권을 놓고 영국과 싸우는 스페인을 지지했다. 뒤 바리는 1770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국왕에게 그의 음모를 폭로했고, 슈아쇨은 그의 장관직에서 해임되어 궁정에서 추방되었다.

이러한 음모에도 불구하고,[19] 잔은 그녀의 전임자 퐁파두르 후작 부인과는 달리 정치에 거의 관심이 없었고,[20] 새로운 드레스와 보석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그러나 국왕은 그녀가 국무 회의에 참여하도록 허락할 정도였다.[21]

3. 3. 마리 앙투아네트와의 갈등

오스트리아에서 프랑스 왕세자 루이 오귀스트(훗날의 루이 16세)에게 시집온 마리 앙투아네트는 뒤바리 부인의 출신 배경과 그 존재를 철저히 증오했다.[45] 창녀나 애첩을 싫어하는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의 영향을 받은 마리 앙투아네트는 뒤바리 부인을 노골적으로 무시했다.[45]

아델라이드 공주, 빅투아르 공주, 소피 공주 등 루이 15세의 딸들은 이전부터 뒤바리 부인의 존재를 꺼리고 있었는데, 궁정에서 가장 신분이 높은 마리 앙투아네트를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려 한 책략은 두 사람의 대립을 더욱 깊게 만들었다. 그러나 뒤바리 부인은 쾌활하고 애교 있는 성격으로 궁정 귀족들에게서는 호감을 샀다고 한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뒤바리 부인에게 말을 걸지 않으며 궁정 의례를 무시했다. 그녀는 잔의 배경을 비난했을 뿐만 아니라, 로앙 추기경이 마리 앙투아네트의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에 대해 말한 외설적인 이야기에 잔이 웃었다는 소식을 프로방스 백작으로부터 듣고 모욕감을 느꼈다.[30]

마리아 테레지아는 이것이 외교 문제로 비화될까 염려하여 오스트리아 총리대신 카우니츠 재상을 통해 훈령을 보내 마리 앙투아네트에게 자제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앙투아네트는 카우니츠에게 무슨 자격으로 자신에게 그런 편지를 보내느냐며 추궁하였다.

이에 뒤바리 백작 부인은 루이 15세와 오스트리아 대사에게 마리 앙투아네트의 행태가 계속될 경우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외교 관계가 악화될 것이라 압박했다. 결국, 1772년 새해 첫날 무도회에서 마리 앙투아네트는 잔에게 "오늘 베르사유에 사람이 참 많군요"[45][2]라고 간접적으로 말을 걸면서 갈등이 다소 완화되었다.

4. 루이 15세 사후와 프랑스 혁명

1774년 루이 15세천연두로 사망하면서 뒤 바리 부인은 궁정에서 추방되었다.[27] 루이 15세는 사망 직전, 뒤 바리 부인에게 퐁토담 수녀원으로 갈 것을 명령했다.

4. 1. 추방과 은둔 생활

루이 16세는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뒤 바리 부인에게 루브시엔 성에서 다시 살 수 있도록 허락해주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고, 그녀는 런던에 머물고 있었는데 자신의 저택을 방문하기 위해 프랑스에 입국했다가 공화주의자에게 붙잡혔다.[26] 왕의 죽음과 루이 16세의 즉위 후, 새로운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는 잔을 모-앙-브리 근처 퐁-오-담 수도원으로 추방했다. 처음에는 수녀들이 그녀를 냉대했지만, 그녀의 소심한 태도에 마음이 풀렸고, 특히 원장인 라 로슈-퐁트넬 부인을 비롯하여 그녀에게 마음을 열었다.

수도원에서 1년 후, 잔은 해 질 녘까지 돌아오는 조건으로 주변 시골을 방문하는 허가를 받았다. 한 달 후, 그녀는 더 멀리 나갈 수 있었지만, 그녀가 사랑하는 루브시엔 성을 포함하여 베르사유에서 약 16.09km 이내로는 갈 수 없었다. 2년 후, 그녀는 루브시엔으로 이사하는 것이 허락되었다.

''마담 뒤 바리의 초상'', 1781년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작


그 후 몇 년 동안 그녀는 루이 에르퀼 티모레옹 드 코세-브리사크와 관계를 가졌다. 그녀는 나중에 가족과 함께 성 근처로 이사온 레드랜드의 헨리 시모어와 사랑에 빠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모어는 은밀한 연애에 지쳐서 잔에게 '나를 내버려둬'라는 영어 문구가 적힌 그림을 보냈고, 화가 르모인이 1796년에 이를 복사했다. 브리사크 공작은 이 메나지 아 트루아에서 더 충실한 모습을 보였고, 시모어에도 불구하고 잔을 마음속에 간직했다.

4. 2. 체포와 처형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고, 애인이었던 파리 군 사령관 드 브리사크 원수가 학살되었다.[28] 1791년 1월, 뒤 바리 부인은 영국으로 도망쳐 망명 귀족들을 지원했다.[35] 그러나 1793년 3월, 프랑스로 귀국했다가 혁명군에게 체포되었고, 그해 12월 7일에 단두대로 보내졌다.[35]

사형 집행인 샤를 앙리 상송과 친분이 있던 그녀는 울면서 목숨을 구걸했다.[35] 그러나, 이를 견디지 못한 상송은 아들에게 형 집행을 위임했고, 결국 뒤 바리 부인은 처형되었다.[35] 향년 50세였다. 그녀가 위험을 무릅쓰고 귀국한 이유는 확실치 않지만, 혁명 정부에 의해 압류된 자신의 성에 보관해 둔 보석을 되찾기 위해서였다는 설이 있다.

샤를 앙리 상송은 수기에 "모두 뒤 바리 부인처럼 울부짖으며 목숨을 구걸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그랬다면 사람들도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공포 정치도 더 빨리 끝났을지도 모른다"라고 기록했다.[35]

5. 유산과 평가

뒤바리 부인은 프랑스 궁정 문화의 화려함과 몰락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그녀의 삶은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그녀의 이름을 딴 요리도 전해진다.

루이 15세가 콜리플라워를 좋아하여 콜리플라워 포타주는 크렘 뒤 바리(crème du Barry)라고 불린다.[36]

1769년 루이 15세는 앙주 자크 가브리엘에게 일 드 프랑스의 루브시엔 성을 개조하게 하여 뒤 바리 부인에게 선물했다. 이 성은 "샤토 드 마담 뒤 바리"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프랑스 국립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자금 부족으로 인한 누수 등 노후화가 진행되어 1989년에 고급 호텔로 재생 이용을 조건으로 일본인 실업가 요코이 히데키에게 매각되었다.[37][38][39] 이후 가구들이 경매에 부쳐졌고, 성은 방치된 채 도난 및 불법 침입자들의 점거 등으로 황폐화되었다. 요코이의 재불 관계자들은 사기 등의 혐의로 체포, 수감되었다.[37] 이후 프랑스 투자자가 구매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5. 1. 예술 작품 속 뒤바리 부인

1773년 오귀스탱 파주의 마담 뒤 바리 대리석 흉상: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뒤바리 부인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다음은 뒤바리 부인을 소재로 하거나 등장인물로 한 주요 작품 목록이다.

'''영화'''

연도제목감독뒤바리 부인 역 배우
1915뒤바리에도아르도 벤치벤가레슬리 카터 부인
1917마담 뒤 바리J. 고든 에드워즈테다 바라
1919마담 뒤바리에른스트 루비치폴라 네그리
1930뒤 바리, 정열의 여인노마 탈마지
1934마담 뒤 바리윌리엄 디터리돌로레스 델 리오
1938마리 앙투아네트글래디스 조지
1943뒤바리는 레이디였다루실 볼
1949블랙 매직마고 그레이엄
1954마담 뒤 바리크리스티앙-자크마르틴 카롤
2006마리 앙투아네트소피아 코폴라아시아 아르젠토
2023잔 뒤 바리마이웬마이웬 [40]



'''만화'''



'''TV 애니메이션'''

'''게임'''

5. 2. 기타


  • 루이 15세가 콜리플라워를 좋아했던 것과 관련하여, 콜리플라워 포타주는 크렘 뒤 바리(crème du Barry)라고 불린다.[36]
  • 1769년 루이 15세의 공식 정부가 되었을 때, 국왕은 일 드 프랑스의 루브시엔 성을 앙주 자크 가브리엘에게 개조하게 하여 뒤 바리 부인에게 선물했다. 이 성은 "샤토 드 마담 뒤 바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성은 프랑스 국립 사적으로 지정되었지만, 자금 부족으로 누수 등 노후화가 진행되어 1989년에 고급 호텔로의 재생 이용을 조건으로 일본인 실업가 요코이 히데키에게 매각되었다.[37][38][39] 그러나 가구들이 경매에 부쳐졌고, 성은 방치된 상태가 되어 도난 및 불법 침입자들의 점거 등으로 황폐화가 진행되었으며, 요코이의 재불 관계자들이 사기 등의 혐의로 체포, 수감되었다.[37] 이후 프랑스 투자자가 구매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참조

[1] 뉴스 A Mistress's Tale https://online.wsj.c[...] 2022-04-24
[2] 웹사이트 Madame du Barry vs Marie Antoinette https://genikuckhahn[...] 2022-04-24
[3] 웹사이트 Family tree of Anne BECU de CANTIGNY https://gw.geneanet.[...] 2022-04-13
[4] 문서 1992
[5] 문서 1992
[6] 문서 1992
[7] 문서 1992
[8] 문서 An Indecent Pitch of Luxury as to Insult the Poverty of the People
[9] 문서 1992
[10] 문서 1992
[11] 문서 1992
[12] 문서 1992
[13] 서적 Queen of Fashion http://archive.org/d[...] Henry Holt and Co. 2006-09-19
[14] 웹사이트 How an Indian man taken to Europe as a slave played a role in the French Revolution https://scroll.in/ar[...] 2020-07-14
[15] 뉴스 Zamor, the slave boy from Bengal played a major role in bringing down Bastille during French Revolution https://www.getbenga[...] Get Bengal
[16] 웹사이트 Jeanne Bécu, Comtesse du Barry https://www.madamegu[...] 2022-04-21
[17] 문서 1992
[18] 서적 Becoming Marie Antoinette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19] 서적 Memoirs of the Comtesse Du Barry; with intimate details of her entire career as favorite of Louis XV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 서적 The Diamond: A Novel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21] 문서 Souvenirs
[22] 문서 Pensions
[23] 웹사이트 The Diamond Necklace Affair http://www.marie-ant[...] 2011-06-30
[24] 문서 Jewels
[25] 서적 Marie Antoinette: The Last Queen of France https://books.google[...] St. Martin's Griffin
[26] 문서 1992
[27] 웹사이트 newadvent.org http://www.newadvent[...]
[28] 뉴스 This gorgeous portrait is haunted by intrigue and death https://www.washingt[...] 2022-04-25
[29] 웹사이트 Madame du Barry: From Prostitute to King Louis XV's Last Mistress, and Died as Famous Victim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en.thevalue.[...] 2022-04-23
[30] 문서 1992
[3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ruits, Vegetables, and Herbs: History, Botany, Cuisine https://books.google[...] Book Sales 2017-01-26
[32] 서적 The Idiot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003-07
[33] 간행물 Rivista enciclopedica contemporanea https://books.google[...] Editore Francesco Vallardi, Milan 1913
[34] 백과사전 Jeanne Bécu, countess du Barry mistress of Louis XV of Franc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35] 문서
[36] 기타 ル・コルドン・ブルー東京校
[37] 뉴스 Versailles Journal;Proud Castles Stripped, and France Is Scandaliz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6-02-15
[38] 뉴스 L'auteur présumé des pillages remis en liberté https://www.leparisi[...] Le Parisian 2000-06-22
[39] 뉴스 La justice dédouane les anciens propriétaires https://www.leparisi[...] Le Parisian 2002-02-23
[40] 웹사이트 ジョニー・デップの俳優復帰作『Jeanne du Barry』の場面写真が公開 https://www.elle.com[...] 2023-01-05
[41] 웹사이트 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も虜にした、ファッションデザイナーの生涯描く新連載 https://natalie.mu/c[...]
[42] 웹사이트 皆さまお待たせいたしました 『傾国の仕立て屋 ローズ・ベルタン』 ついに連載再開です https://x.com/Bunch_[...] 2024-12-10
[43] 서적 왕의 정부 생각의 나무 2004-08-10
[44] 지식백과 뒤바리 부인 2006-08-10
[45] 서적 왕의 정부 생각의 나무 2004-08-10
[46] 서적 매춘의 역사 까치 1994-04-02
[47] 서적 왕의 정부 생각의 나무 2004-08-10
[48] 서적 왕의 정부 생각의 나무 2004-08-10
[49] 서적 The Untold History of the Kings and Queens of Europe https://books.google[...] 2016-07-15
[50] 서적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3 휴머니스트 2017
[51] 지식백과 뒤바리 부인 2006-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